이 8개의 모래 모형은 완성품이 아니라 디지털 트윈의 씨앗이다. 손의 감각과 알고리즘, 데이터와 해석이 연결되며, 실험적 형태는 다시 현실의 설계·시공 과정으로 돌아올 수 있다. 즉, 디지털 트윈은 기억을 보관하는 저장소이자, 미래 변형의 실험실이 된다.
  These eight sand models are not finished works but seeds of digital twins. As the touch of the hand connects with algorithms, data, and interpretation, experimental forms can return to the real processes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is sense, the digital twin becomes both a repository that preserves memory and a laboratory for future transformation. 
Kim, Moohan, Jongeun Yang, and Sujeong Lee. "Integrating technology and art in landscape design." Design issues 39.3 (2023): 83-87.
Back to Top